훈민정음
한글의 원래 이름은 '훈민정음'입니다.
훈민정음은 초성 17자, 중성 11자로 총 28자이며 1443년 세종 25년에 창제되고, 1446년 세종 28년에 반포되었습니다.
<세종실록>에는
'상감께서 친히 언문 스물여덟 자를 지으시니, 그 글자는 옛날 전자를 본뜨고, ....글자는 비록 간단하고 요긴하나 글자를 조합해서 씀이 무궁하니, 훈민정음이라 일컫는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현재 쓰이는 훈민정음, 즉 한글은 자음 14자, 모음 10자로 위의 <세종실록>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단 24자만으로 국어의 거의 모든 소리를 표현해낼 수 있습니다.
또한 한글은 글자에 그 소리를 내는 발음기관의 모양을 반영하거나 당시 주된 학문이었던 성리학의 철학이 담긴 하늘, 땅, 사람의 모양을 상형하여 기본자를 만들고, 가획이나 합성의 방법을 더해 소리를 표현한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문자로 이러한 우수성을 인정받아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한글 창제 원리
초성 기본자
ㄱ, ㄴ, ㅁ, ㅅ, ㅇ
초성의 기본자 'ㄱ, ㄴ, ㅁ, ㅅ, ㅇ'는 성리학의 오행(목, 화, 토, 금, 수)을 바탕으로 발음기관의 모습을 본떠 만들었습니다.
즉 초성 기본자는 각 초성을 발음할 때 각 발음기관의 모습을 글자의 형태에 반영한 상형문자입니다.
'ㄱ'은 'ㄱ'소리를 발음할 때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떴으므로 어금닛소리(아음)이라고 하며,
'ㄴ'은 'ㄴ'소리를 발음할 때 혀끝이 윗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떴으므로 혓소리(설음)이라고 합니다.
'ㅁ'은 'ㅁ'소리를 발음할 때 입 모양을 본떴으므로 입술소리(순음)이라고 하며,
'ㅅ'은 'ㅅ'소리를 발음할 때 이 모양을 본떴으므로 잇소리(치음)이라고 합니다.
'ㅇ'은 'ㅇ'소리를 발음할 때 목구멍 모양을 본떴으므로 목구멍소리(후음)이라고 합니다.
초성 가획자
ㄱ / ㅋ
ㄴ / ㄷ / ㅌ
ㅁ / ㅂ / ㅍ
ㅅ / ㅈ / ㅊ
ㅇ / ㆆ / ㅎ
초성의 나머지 12자 중 9자는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만들었습니다.
'ㄱ, ㄴ, ㅁ, ㅅ, ㅇ'에 획을 하나씩 더하여 'ㅋ/ㄷ, ㅌ/ㅂ, ㅍ/ㅈ, ㅊ/ ㆆ, ㅎ'을 만들어 소리의 세기를 글자에 반영했습니다.
즉 'ㅋ'의 경우 'ㄱ'과 같은 조음위치에서 발음되지만 소리의 세기가 'ㄱ'보다 조금 더 세다는 것을 글자 모양에 반영한 것입니다.
초성 이체자
ㄱ / ㅋ / ㆁ
ㄴ / ㄷ / ㅌ / ㄹ
ㅁ / ㅂ / ㅍ
ㅅ / ㅈ / ㅊ / ㅿ
ㅇ / ㆆ / ㅎ
초성의 'ㆁ, ㄹ, ㅿ'는 앞서 말한 가획의 원리를 벗어나 글자 모양을 조금 변형시켜 만들었습니다.
즉 'ㆁ, ㄹ, ㅿ'의 경우 같은 조음위치의 글자에 획을 더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없고, 글자 모양이 특이해서 이를이체자라고 합니다.
중성 기본자
ㆍ, ㅡ, ㅣ
중성의 기본자 'ㆍ, ㅡ, ㅣ' 역시 성리학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늘, 땅, 사람'의 모습을 본떠 만들었습니다.
중성 합성자
ㅏ, ㅓ, ㅗ, ㅜ
ㅑ, ㅕ, ㅛ, ㅠ
중성 11자 중에서 나머지 8자는 기본자'ㆍ, ㅡ, ㅣ'를 결합하여 만들었습니다.
'ㆍ와 ㅣ'를 합치고, 'ㆍ와 ㅡ'를 합쳐서 초출자 'ㅏ, ㅓ, ㅗ, ㅜ'를 먼저 만들고, 이 초출자에 'ㅣ'를 하나 더하여 재출자 'ㅑ, ㅕ, ㅛ, ㅠ'를 만들었습니다.
종성
'종성으로는 다시 초성을 쓴다.(종성부용초성)' _ 훈민정음 해례본
종성 글자는 따로 만들지 않고 초성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모든 초성 글자를 종성으로 쓰지 않고, 종성으로는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의 여덟 글자만을 사용했습니다.(팔종성가족용)
글자의 운용
이어 쓰기(연서)
ㅱ, ㅸ, ㅹ, ㆄ
입술소리(순음) 'ㅁ, ㅂ, ㅃ, ㅍ' 아래 'ㅇ'을 이어쓸 수 있다는 규정입니다.
지금은 쓰이지 않지만 당시에는 이에 따라 ' ㅱ, ㅸ, ㅹ, ㆄ'의 글자를 만들어 쓸 수 있었습니다.
나란히 쓰기(병서)
ㄲ, ㄸ, ㅃ, ㅆ, ㅉ, ㅎㅎ
ㅅㄱ, ㅅㄷ, ㅅㅂ/ㅂㄷ, ㅄ, ㅂㅈ, ㅂㅌ/ㅄㄱ, ㅂㅅㄷ
초성을 두 개 이상 나란히 쓰는 방법을 나란히 쓰기(병서)라고 합니다.
'ㄲ, ㄸ, ㅃ' 등과 같이 같은 초성 두 자를 나란히 써서 사용하였는데 이와 같은 쓰기 방식을 각자병서라고 하며, 'ㅄ, ㅄㄷ'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초성 두 자나 세 자를 나란히 쓰기도 했는데 이를 합용병서라고 합니다.
붙여쓰기(부서)
나라, 서르, 니르고져, 아니호리다
'ㅏ, ㅡ, ㅗ, ㅜ, ㅛ, ㅠ'는 초성의 아래에 붙여 쓰고, 'ㅣ, ㅏ, ㅓ, ㅑ, ㅕ'는 초성의 오른 편에 붙여 쓰라.' _ 훈민정음 해례본
초성과 중성을 붙여쓸 때 중성의 모양에 따라 초성과의 결합 방법이 다름을 위와 같이 규정해 놓았습니다.
음절 이루기(성음)
'무릇 모든 글자는 합해져야 소리를 이룰 수 있다.' _ 훈민정음 해례본
초성과 중성 또는 초성, 중성, 종성이 합해져야 음절을 이룬다는 규정입니다.
이상으로 한글 창제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굴 붓기 빨리 빼는 법 (0) | 2021.10.12 |
---|---|
용비어천가 해석 (0) | 2021.09.26 |
두음법칙 정리 (0) | 2021.09.22 |
- 로서 / - 로써 & 어떻게 / 어떡해 (0) | 2021.09.20 |
이에요(O) / 이예요(X) & 없음(O) / 없슴(X) (0) | 2021.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