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서 / - 로써
사람으로서 꼭 해야 할 일이 있지.
김치는 우리나라 대표 발효식품으로서 맛과 영양이 뛰어나다.
광주는 5.18민주화 운동이 일어난 곳으로서 의의가 크다.
'-로서'는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는 격조사로 어떤 동작이 일어나거나 시작되는 곳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법으로써 심판할 수 없다면 다른 방법이 있지.
라면은 한 끼 식사로써 제격이다.
카레의 주성분은 강황으로써 다양한 효능이 있다.
오늘로써 이 직장도 끝이다.
'-로써'는 어떤 일의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내는 격조사로 어떤 물건의 재료나 원료를 나타내기도 하며 어떤 일의 기준이 되는 시간임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어떻게 / 어떡해
소설은 어떻게 쓰는가.
그 일은 어떻게 되어 갑니까?
여기에는 어떻게 오셨습니까?
네가 어떻게 이럴 수 있니?
'어떻게'는 부사로 '어떠하다'가 줄어든 말인 '어떻다'에 부사형어미 '-게'가 결합한 단어입니다.
주로 의문문에 쓰여 방법이나 방식, 모양이나 형편, 이유나 까닭을 나타내며, 수사의문문에 쓰여 '도무지 그럴 수 없음'을 강조하여 나타낼 때 쓰이기도 합니다.
벌써 문을 닫았으면 어떡해. / 어떻게 해.
오늘도 지각하면 어떡해요? / 어떻게 해요?
'어떡해'는 '어떻게 하다'의 준말인 '어떡하다'의 활용형으로 문장의 서술어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서술어를 수식하는 부사 '어떻게'가 쓰인 형용사구로 대체하여 쓰일 수 있습니다.
붙이다 / 부치다
전단지를 붙이다.
가스렌지에 불을 붙이다.
이 조건을 붙이면 계약하겠습니다.
'붙이다'는 '붙다'의 사동사로 맞닿아 떨어지지 않게 하다, 불을 일으켜 타게 하다, 조건, 이유, 구실 따위를 딸리게 하다 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오늘 택배를 부쳤다.
이 문제는 다수결에 부치기로 했습니다.
그 일을 비밀에 부치자는 의견에 반대한다.
'부치다'는 동사로 편지나 물건 따위를 일정한 수단이나 방법을 써서 상대에게로 보내다, 어떤 문제를 다른 곳이나 다른 기회로 넘기어 맡기다, 어떤 일을 거론하거나 문제 삼지 아니하는 상태에 있게 하다 등의 의미가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창제 원리 (0) | 2021.09.25 |
---|---|
두음법칙 정리 (0) | 2021.09.22 |
이에요(O) / 이예요(X) & 없음(O) / 없슴(X) (0) | 2021.09.19 |
삐지다(O)/이쁘다(O)/개기다(O)/꼬시다(O) (0) | 2021.09.18 |
주책이다(O) / 주책없다(O) & 안절부절못하다(O) (0) | 2021.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