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2)
설거지 맞춤법 : 설거지(O) / 설겆이(X) 설거지(O) / 설겆이(X) '설거지'가 맞는 표현입니다. 옛날에는 '설겆이'가 쓰였지만 현재는 더 이상 쓰이지 않는 단어가 되었기 때문에 '설거지'를 표준어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동사 '설겆다'에 명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되어 '설겆이'로 쓰이다가 언중들이 동사 '설거지하다'를 많이 쓰게 됨으로써 명사의 형태도 '설거지'로 바뀌었습니다. 무(O) / 무우(X) 총각무(O) / 알타리무(X) '무'가 맞는 표현입니다. '무'는 '무우'가 줄어진 준말로 본말인 '무우'보다 널리 쓰이고 있어 표준어로 채택되었습니다. '총각무'가 맞는 표현입니다. '총각무'는 한자어가 결합된 말로 고유어인 '알타리무'보다 더 많이 쓰이고 있어 표준어로 채택되었습니다. 돌(O) / 돐(X) '돌'이 맞는 표현입니다. '..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 '수 -' : 수컷(O) / 숫컷(X)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 '수 -' : 수컷(O) / 숫컷(X) 수꿩, 수소, 수은행나무, 수놈, 수나사, 수거미, 수나비, 수술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수-'로 통일하여 표기합니다. 수캉아지, 수캐, 수컷, 수키와, 수탉, 수탕나귀, 수톨쩌귀, 수퇘지, 수평아리 그런데 위의 '수캉아지'는 '강아지'에 접두사 '수-'가 결합됨으로써 'ㄱ'이 'ㅋ'으로 변했으며, 나머지 단어들도 접두사 '수-'와 결합하여 'ㄱ, ㄷ, ㅂ'이 거센소리인 'ㅋ, ㅌ, ㅍ'으로 변했습니다. 이는 접두사 '수-'의 원래 형태가 '숳-'(수 ㅎ - )이었기 때문입니다. 즉 겉으로는 '수-'의 형태를 띄지만 이전의 형태인 '숳-'의 음운론적 잔재인 'ㅎ'이 남아있어 'ㅎ'과 '강아지'의 'ㄱ'이 합쳐져 *거센소리 'ㅋ'으로 발음되는 ..
웃어른(O) / 윗어른(X) : '웃 -'과 '윗 -'의 구별 웃어른(O) / 윗어른(X) : '웃 -'과 '윗 -'의 구별 윗니, 윗몸, 윗입술, 윗목 아래, 위의 구별이 있는 단어에는 접두사 '위-'가 쓰이고 아래, 위의 구별이 없는 단어에는 접두사 '웃-'이 쓰입니다. 즉 윗니, 윗몸, 윗입술, 윗목은 아랫니, 아랫몸, 아랫입술, 아랫목과 구별되므로 모두 '윗-'를 사용하여 표기합니다. 웃돈, 웃어른, 웃옷, 웃비 위와 같이 아래, 위의 구별이 없는 단어에는 접두사 '웃-'이 쓰이는데, 이 중 '웃옷'의 경우 '겉에 입는 옷'을 뜻합니다. 만약 '아랫옷'과 반대되는 '상의'의 의미를 나타내고자 할 때는 '윗옷'이라고 쓸 수 입습니다. 위쪽, 위짝, 위층, 위채 'ㅉ' 등의 된소리나 'ㅊ' 등의 거센소리가 쓰인 위의 단어는 아래, 위의 구분이 있는 단어임에도 '..
사잇소리 현상 사잇소리 현상 눈사람, 나뭇가지 위의 '눈사람'은 '눈'과 '사람'이 결합한 합성어이며, '나뭇가지'는 '나무'와 '가지'가 결합한 합성어입니다. 하지만 위의 두 단어가 합성어가 되는 과정에서 '눈사람'에는 'ㅅ'(사이시옷)이 첨가되지 않았는데 반해, '나뭇가지'에는 'ㅅ'(사이시옷)이 첨가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나뭇가지'를 발음할 때 발생하는 사잇소리 현상을 표기하기 위해서인데요, 사잇소리 현상은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사잇소리 현상 (1) 우선 사잇소리 현상이란 위와 같이 두 단어가 결합하여 합성어가 될 때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눈사람'의 경우, 뒷말의 첫소리인 'ㅅ'이 'ㅆ'으로 바뀌어 [눈싸람]으로 발음되며, 나뭇가지의 경우 뒷말의 첫소리인 ..
외래어 표기법 우리가 일상에서 주로 쓰는 감자(한자어), 가위(여진어), 아르바이트(독일어), 스파게티(이탈리아어), 모델(프랑스어), 빵(포르투갈 어) 등의 단어는 외래어입니다. 국어는 순수 우리말인 고유어뿐만 아니라 한자어, 외래어의 3중 체계를 이루고 있는데, 예로부터 일상에서 주로 쓰이고 있는 한자어를 제외한 외국에서 들어온 말들 중 국어에 동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단어를 외래어라고 합니다. 컴퓨터나 휴대폰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도 '업로드', '다운로드', '앱', '업데이트', '포털 사이트', '콘텐츠' 등의 외래어가 다양하게 쓰이며, 병원이나 상점, 놀이공원의 이름에도 '클리닉', '렌터카', '플라자', '아트센터', '뮤지엄', '워터피아' 등 다양한 외래어가 쓰이고 있습니다. 외국으로부터 새로운 것이 ..
로마자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주로 한글 이름을 영문으로 표기할 때 쓰이는 로마자는 의외로 우리 생활 주변에 많이 쓰이고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교통표지판의 지역명이나 관광지의 안내판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다양한 음식점의 메뉴판에도 로마자가 한글과 나란히 표기되어 있습니다. 로마자 표기법은 우리말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것을 규정해 놓은 것입니다. 로마자란 라틴문자라고도 하는데 영어나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어어 등 여러 나라에서 쓰이는 문자를 가리킵니다. 로마자인 알파벳의 소리값을 알고만 있다면 우리말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지만, 외국어에는 없는 'ㄲ, ㄸ' 등의 된소리 표기나 'ㅓ, ㅢ, ㅐ' 등의 이중모음 표기, '국민[궁민]' 등의 음운의 변화 등을 어떻게 표기해야 하는지 궁금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