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컷을 이르는 접두사 '수 -' : 수컷(O) / 숫컷(X)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 '수 -' : 수컷(O) / 숫컷(X) 수꿩, 수소, 수은행나무, 수놈, 수나사, 수거미, 수나비, 수술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수-'로 통일하여 표기합니다. 수캉아지, 수캐, 수컷, 수키와, 수탉, 수탕나귀, 수톨쩌귀, 수퇘지, 수평아리 그런데 위의 '수캉아지'는 '강아지'에 접두사 '수-'가 결합됨으로써 'ㄱ'이 'ㅋ'으로 변했으며, 나머지 단어들도 접두사 '수-'와 결합하여 'ㄱ, ㄷ, ㅂ'이 거센소리인 'ㅋ, ㅌ, ㅍ'으로 변했습니다. 이는 접두사 '수-'의 원래 형태가 '숳-'(수 ㅎ - )이었기 때문입니다. 즉 겉으로는 '수-'의 형태를 띄지만 이전의 형태인 '숳-'의 음운론적 잔재인 'ㅎ'이 남아있어 'ㅎ'과 '강아지'의 'ㄱ'이 합쳐져 *거센소리 'ㅋ'으로 발음되는 ..
웃어른(O) / 윗어른(X) : '웃 -'과 '윗 -'의 구별
웃어른(O) / 윗어른(X) : '웃 -'과 '윗 -'의 구별 윗니, 윗몸, 윗입술, 윗목 아래, 위의 구별이 있는 단어에는 접두사 '위-'가 쓰이고 아래, 위의 구별이 없는 단어에는 접두사 '웃-'이 쓰입니다. 즉 윗니, 윗몸, 윗입술, 윗목은 아랫니, 아랫몸, 아랫입술, 아랫목과 구별되므로 모두 '윗-'를 사용하여 표기합니다. 웃돈, 웃어른, 웃옷, 웃비 위와 같이 아래, 위의 구별이 없는 단어에는 접두사 '웃-'이 쓰이는데, 이 중 '웃옷'의 경우 '겉에 입는 옷'을 뜻합니다. 만약 '아랫옷'과 반대되는 '상의'의 의미를 나타내고자 할 때는 '윗옷'이라고 쓸 수 입습니다. 위쪽, 위짝, 위층, 위채 'ㅉ' 등의 된소리나 'ㅊ' 등의 거센소리가 쓰인 위의 단어는 아래, 위의 구분이 있는 단어임에도 '..
외래어 표기법
우리가 일상에서 주로 쓰는 감자(한자어), 가위(여진어), 아르바이트(독일어), 스파게티(이탈리아어), 모델(프랑스어), 빵(포르투갈 어) 등의 단어는 외래어입니다. 국어는 순수 우리말인 고유어뿐만 아니라 한자어, 외래어의 3중 체계를 이루고 있는데, 예로부터 일상에서 주로 쓰이고 있는 한자어를 제외한 외국에서 들어온 말들 중 국어에 동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단어를 외래어라고 합니다. 컴퓨터나 휴대폰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도 '업로드', '다운로드', '앱', '업데이트', '포털 사이트', '콘텐츠' 등의 외래어가 다양하게 쓰이며, 병원이나 상점, 놀이공원의 이름에도 '클리닉', '렌터카', '플라자', '아트센터', '뮤지엄', '워터피아' 등 다양한 외래어가 쓰이고 있습니다. 외국으로부터 새로운 것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