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로마자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주로 한글 이름을 영문으로 표기할 때 쓰이는 로마자는 의외로 우리 생활 주변에 많이 쓰이고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교통표지판의 지역명이나 관광지의 안내판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다양한 음식점의 메뉴판에도 로마자가 한글과 나란히 표기되어 있습니다.

 

로마자 표기법은 우리말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것을 규정해 놓은 것입니다. 로마자란 라틴문자라고도 하는데 영어나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어어 등 여러 나라에서 쓰이는 문자를 가리킵니다.

 

로마자인 알파벳의 소리값을 알고만 있다면 우리말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지만, 외국어에는 없는 'ㄲ, ㄸ' 등의 된소리 표기나 'ㅓ, ㅢ, ㅐ' 등의 이중모음 표기, '국민[궁민]' 등의 음운의 변화 등을 어떻게 표기해야 하는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로마자 표기법은 이러한 부분에 대해 구체적인 표기 규정을 마련해 일관성 있는 표기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크게 어렵지 않으니 한번 알아두면 유용하게 쓰일 것 같습니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표준발음법에 따라 적습니다. 즉 현실 발음(표준 발음)을 표기에 최대한 반영하여 적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시 말하면 '자음동화'나 '구개음화' 등 국어의 음운 변동을 표기에 반영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신라'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는 '신라[실라]'로 발음되는 것을 고려하여 'sinra'가 아니라 'silla'로 적습니다.

 

 

 

로마자 표기법

 

단모음

 

a o u i e
eo eu ae oe wi

 

 

단모음 'ㅏ'는 'a', 'ㅗ'는 'o', 'ㅜ'는 'u', 'ㅣ'는 'i', 'ㅔ'는 'e'에 대응됩니다.

 

그런데 'ㅓ, ㅡ, ㅐ, ㅚ, ㅟ'는 하나의 로마자로 대응시킬 수 없어서 두 개의 로마자를 합쳐서 대응하는데 'ㅓ'는 'eo', 'ㅡ'는 'eu', 'ㅐ'는 'ae', 'ㅚ'는 'oe', 'ㅟ'는 'wi'로 대응합니다.

 

 

로마자 표기법

 

이중모음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이중모음을 로마자에 대응시킬 때는 반모음의 표기에 'y'('ㅣ')와 'w'('ㅗ')를 사용합니다.

 

즉 'ㅣ'가 'ㅏ'에 더해진 'ㅑ'를 로마자로 표기할 경우, 'ㅣ'에 대응되는 'y'를 'ㅏ'에 대응되는 'a' 앞에 합쳐서 'ya'로 표기합니다.

 

또한 'ㅗ'와 'ㅏ'가 더해진 'ㅘ'를 로마자로 표기할 경우, 'ㅗ'에 대응되는 'w'를 'ㅏ'에 대응되는 'a' 앞에 합쳐서 'wa'로 표기합니다.

 

이중모음 중 'ㅢ'의 경우에는 'ui'에 대응하는데, 주의할 것은 'ㅢ'가 'ㅣ'로 소리 나더라도 항상 'ui'로 적는다는 것입니다.

 

이는 로마자는 표준 발음법에 따라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다는 원칙의 예외 사항이므로 기억해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희망[히망]'의 로마자 표기는 'ㅢ'가 'ㅣ'로 발음된 'himang'가 아니라 'ㅢ(ui)'를 그대로 대응시켜 'huimang'로 표기합니다.

 

 

 

로마자 표기법

 

자음 표기

 

g, k kk k d, t tt t b, p pp p

 

 

자음 'ㄱ'은 'g'와 'k', 'ㄷ'은 'd'와 't', 'ㅂ'은 'b'와 'p' 등 각각 두 개와 대응됩니다. 하나의 자음에 두 개의 로마자가 있는 이유는 자음이 위치한 환경에 따라 소리의 특성이 달라 구별하여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모음 앞의 'ㄱ, ㄷ, ㅂ'은 'g, d, b'로 적고, 자음 앞이나 어말의 'ㄱ, ㄷ, ㅂ'은 'k, t, p'로 적습니다.

 

예를 들어 '감자[감자]'의 'ㄱ'은 모음 'ㅏ' 앞에 위치하므로 'g'를 사용해 'gamja'로 적고 '닭[닥]'의 'ㄷ'은 모음 'ㅏ' 앞에 있으므로 'd'로, 'ㄱ'은 어말에 있으므로 'k'를 사용해 'dak'로 적습니다.

 

또한 겹자음 'ㄲ, ㄸ, ㅃ'는 각각 'kk, tt, pp'로 표기합니다.

 

단 로마자 표기 원칙에 따라 대부분의 음운 변동은 표기에 반영되지만 된소리('ㄲ, ㄸ, ㅃ, ㅆ, ㅉ')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습니다.

 

즉 원래 된소리의 겹자음을 지닌 단어인 '떡[떡]'과 같은 단어는 'tteok'으로 된소리 표기를 하지만 음운변동에 따라 된소리로 소리나는 단어인 '국밥[국빱]'과 같은 단어는 'gukbap'과 같이 된소리표기를 하지 않습니다.

 

 

 

로마자 표기법

 

 

자음 표기

 

j jj ch s ss h n m ng t, l

 

 

'ㄹ'역시 'r'과 'l' 에 대응하여 두 가지를 사용해 표기하는데, 모음 앞에 있는 'ㄹ'은 'r'로 적고, 자음 앞이나 어말에 나타나는 'ㄹ'은 'l'로 적습니다. 또한 'ㄹ'이 연이어 'ㄹㄹ'로 나타나는 경우는 'll'로 적습니다.

 

즉 '나라[나라]'의 'ㄹ'은 모음 'ㅏ' 앞에 있으므로 'r'을 사용해 'nara'로 표기하며, '날개[날개]의 'ㄹ'은 자음 'ㄱ' 앞에 있으므로 'l'을 사용해 'nalgae'로 표기합니다.

 

또한 '달리기[달리기]'의 경우 'ㄹ'이 연이어 나 'ㄹㄹ'이 되므로 'll'을 사용해 'dalligi'로 표기합니다.

 

 

로마자 표기법

 

 

로마자 이름 표기

 

마지막으로 이름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 주의할 점은 음운 변동은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는 로마자 표기 원칙에 예외가 되는 부분으로, 이름을 적을 때 음운 변화를 반영하여 표기하면 의미가 잘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김설아'의 경우 발음이 [김서라]로 나기 때문에 음운 변화를 반영하면 'gim seora'가 되는데, 이렇게 되면 실제로 이름이 '김서라'인 사람과 구별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름을 로마자로 적을 때는 음운 변동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로마자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연습

 

박지성 -> Bak jiseong

이승진 -> L seungjin

김희열 -> Gim huiyeol

한복남 -> Han boknam

 

떡볶이 -> tteokboggi

김치찌개 -> gichijjigae

육개장 -> yukgaejang

찜닭 -> jjimdak

 

 

이상으로 로마자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