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책없다(O) / 주책이다(O)
/ 주책맞다(O) / 주책스럽다(O)
/ 주책을 떨다(O) / 주책이 심하다(O) / 주책을 부리다(O)
'주책없다'와 '주책이다' 모두 맞는 표현입니다.
'주책'이란 원래 '일정하게 자리 잡힌 주장이나 판단력'을 의미하였기에 '주책없다'가 맞는 표현이었습니다.
하지만 2017년, '주책이다'가 '주책없다'와 같은 뜻으로 널리 쓰이는 것이 인정되어 '주책이다'도 표준어로 삼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주책'이란 단어는 두 가지 반대되는 뜻을 지니게 되습니다.
우선 '주책'은 '일정하게 자리잡힌 주장이나 판단력'을 의미하므로 이 경우에는 "넌 왜 주책없이 남이 하자는 대로 하고만 있니?" 등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또한 '주책'은 '일정한 줏대가 없이 되는대로 하는 짓'을 의미하기도 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제가 주책이라(주책맞게/주책스럽게/주책을 떨어/주책이 심해/주책을 부려) 실례가 많았습니다." 등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안절부절못하다(O) / 안절부절하다(X)
'안절부절못하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안절부절'은 부사로 '마음이 초조하고 불안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는 모양'을 뜻하며 이 경우, "기차 시간을 놓칠까 봐 안절부절 했다." 등으로 쓰입니다.
'안절부절못하다'는 동사로 '마음이 초조하고 불안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다.'를 뜻하며 이 경우, "기차 시간을 놓칠까봐 안절부절못했다." 등으로 쓰입니다.
따라서 '안절부절'과 '하다'가 어울려 쓰일 수는 있으나, '안절부절하다'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에요(O) / 이예요(X) & 없음(O) / 없슴(X) (0) | 2021.09.19 |
---|---|
삐지다(O)/이쁘다(O)/개기다(O)/꼬시다(O) (0) | 2021.09.18 |
설거지 맞춤법 : 설거지(O) / 설겆이(X) (0) | 2021.09.17 |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 '수 -' : 수컷(O) / 숫컷(X) (0) | 2021.09.17 |
웃어른(O) / 윗어른(X) : '웃 -'과 '윗 -'의 구별 (0) | 2021.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