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비음화 & 유음화

비음화 & 유음화

 

비음화

 

비음화란 파열음 'ㅂ, ㄷ, ㄱ'가 비음 'ㄴ, ㅁ'을 만나, 비음 'ㅁ, ㄴ, ㅇ'로 바뀌어 소리 나는 현상입니다.

 

파열음 'ㅂ, ㄷ, ㄱ'  +  비음 'ㄴ, ㅁ'  ->  비음 'ㅁ, ㄴ, ㅇ'

비음화의 예


밥맛[밤맏]   밥물[밤물]
닫는[단는]   걷는[건는]   덧나다[덛나다] [던나다]
곡물[공물]   식물[싱물]   먹는다[멍는다]

 

위의 '밥맛, 닫는, 곡물' 등의 단어는 첫음절이 파열음 'ㅂ, ㄷ, ㄱ'로 끝나고, 둘째 음절이 비음 'ㅁ, ㄴ'로 시작됩니다.

 

파열음과 비음은 자음을 소리 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파열음이란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터트리면서 내는 소리이며, 비음이란 입안의 통로를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입니다.

 

파열음과 비음이 연속될 때는 발음의 편의성을 위해 파열음이 비음에 동화되어, 같은 조음 위치의 비음으로 바뀌어 소리 납니다.

 

즉 파열음 'ㅂ'은 입술소리이므로 비음 중 입술소리인 'ㅁ'으로 바뀌어 소리나고, 파열음 'ㄷ'은 잇몸소리이므로 비음 중 잇몸소리인 'ㄴ'으로 바뀌어 소리납니다.

 

또 파열음 'ㄱ'은 여린입천장소리이므로 비음 중 여린입천장소리인 'ㅇ'로 바뀌어 소리납니다.

 

따라서 '밥맛'의 입술소리 'ㅂ'은 뒤에 오는 비음 'ㅁ'의 영향을 받아  입술소리의 비음 'ㅁ'으로 바뀌어 [밤맛]으로 발음되고, '닫는'의 잇몸소리 'ㄷ'은 역시 비음 'ㄴ'의 영향을 받아 잇몸소리 비음인 ' ㄴ'으로 바뀌어 '[단는]으로 발음됩니다.

 

또 '곡물'의 여린입천장소리 'ㄱ'은 비음 'ㅁ'의 영향을 받아 여린입천장소리 비음인 'ㅇ'으로 바뀌어 [공물]로 발음됩니다.

 

 

비음화

 

'ㄹ'을 제외한 자음   +   유음 'ㄹ'   ->   비음 'ㄴ'

'ㄹ' 비음화의 예


능력[능녁]
격려[격녀][경녀]
독립[독닙][동닙]
학력[학녁][항녁]
입력[입녁][임녁]

 

앞말의 끝소리가 'ㄹ'을 제외한 자음일 때, 뒷말의 첫소리에 유음 'ㄹ'이 오면, 'ㄹ'이 비음 'ㄴ'으로 바뀌어 소리 납니다.

 

또 이때 바뀐 'ㄴ' 앞에 파열음 'ㅂ, ㄷ, ㄱ'가 있으면 비음화가 한 번 더 진행됩니다.

 

위의 '능력'의 첫 음절 끝소리는 'ㅇ'('ㄹ'을 제외한 자음)이고 둘째 음절의 첫소리는 유음 'ㄹ'입니다.

 

'ㄹ'을 제외한 자음 뒤에 유음 'ㄹ'이 이어지면, 발음의 편의성을 위해, 유음 'ㄹ'이 'ㄴ'으로 바뀌어 소리 나므로 '능력'은 [능녁]으로 발음됩니다.

 

위의 '학력, 입력'의 첫 음절 끝소리는 'ㄱ, ㅂ'('ㄹ'을 제외한 자음)이고, 둘째 음절 첫소리는 유음 'ㄹ'입니다.

 

따라서 '학력, 입력'의 'ㄹ'도 'ㄴ'으로 바뀌어 우선 [학녁], [입녁] 변합니다. 이후 'ㄹ'이 'ㄴ' 으로 바뀜으로써 'ㄴ' 앞에 위치한 파열음 'ㄱ, ㅂ'이 다시 비음화 되어 'ㅇ, ㄴ'으로 바뀌어 최종적으로 [항녁], [임녁]으로 발음됩니다.

 

 

유음화

유음화

 

유음화란 비음 'ㄴ'의 앞이나 뒤에 유음 'ㄹ'이 오면, 'ㄴ'(비음)이 'ㄹ'(유음)의 영향으로 'ㄹ'로 소리 나는 현상입니다.

 

비음 'ㄴ'   +   유음 'ㄹ'   ->   유음 'ㄹ'

유음화의 예

신라[실라] 난리[날리] 순리[술리]
줄넘기[줄럼끼] 별님[별림] 앓는다[알는다][알른다]

 

위의 '신라, 난리, 순리'의 첫 음절은 'ㄴ'으로 끝나고, 둘째 음절은 'ㄹ'로 시작하므로, 유음화 현상에 의해 [실라], [날리], [술리]로 발음됩니다.

 

'줄넘기, 별님, 앓는다'의 경우에도 'ㄴ' 앞에 'ㄹ'이 위치하므로 [줄넘끼], [별림], [알른다]로 발음됩니다.

 

 

순행 동화 / 역행 동화 / 상호 동화

 

동화란 소리가 이어서 날 때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의 영향을 받아 그와 비슷하거나 같게 소리나는 현상입니다.

 

비음화, 유음화는 한 자음이 뒤에 오는 자음을 닮아 소리 나는 현상으로 자음 동화 현상 중 하나입니다.

 

동화는 동화의 방향에 따라 순행 동화, 역행 동화, 상호 동화로 구분됩니다.

 

순행 동화란 어떤 음운이 앞에 오는 음운의 영향을 받아 그와 비슷하거나 같게 소리나는 현상입니다.

 

'찰나'는 유음화 현상으로 [찰라]로 발음되는데, 앞에 오는 'ㄹ'의 영향으로 뒤에 오는 'ㄴ'의 소리가 'ㄹ'로 바뀐 것이므로 순행 동화입니다.

 

역행 동화란 어떤 음운이 뒤에 오는 음운의 영향을 받아 그와 비슷하거나 같게 소리나는 현상입니다.

 

'먹물'는 비음화 현상으로 [멍물]로 발음되는데, 뒤에 오는 'ㅁ'의 영향으로 앞에 오는 'ㄱ'의 소리가 'ㅇ'으로 바뀐 것이므로 순행 동화입니다.

 

상호 동화란 가까이 있는 두 음운이 서로 영향을 주게 되는 동화  현상입니다.

 

'독립'은 우선 [독닙]으로 바뀌어 발음(순행 동화)되고, 이어 'ㄴ'의 영향으로 'ㄱ'이 'ㅇ'으로 바뀌어 [동닙]으로 발음(역행 동화)되므로 상호 동화입니다.